컬로든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컬로든 전투는 1746년 4월 16일,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가 이끄는 자코바이트 군과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이 지휘하는 정부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스코틀랜드에서 왕위 찬탈을 시도했으나, 잉글랜드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정부군에 패했다. 자코바이트 군은 장비와 병력 면에서 열세였으며,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자코바이트 봉기는 종결되었다. 전투 이후 영국 정부는 스코틀랜드 하이랜드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고, 씨족 제도를 해체하여 스코틀랜드 문화를 억압했다. 컬로든 전투는 스코틀랜드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자유와 자치에 대한 열망이 억압된 비극적인 사건으로 기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46년 분쟁 - 로쿠스 전투
로쿠스 전투는 1746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프랑스군과 연합군 간의 전투로, 프랑스군이 승리하여 리에주를 점령했으나 연합군의 조직적인 철수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참가한 전투 - 데팅겐 전투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중 영국, 오스트리아, 하노버 연합군이 프랑스군과 데팅겐에서 벌인 전투는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전략적 성과는 미미했으며, 영국 국왕 조지 2세가 직접 지휘한 이 전투는 헨델의 작품으로 기념되었고 유럽의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이 참가한 전투 - 알메나라 전투
알메나라 전투는 1710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카탈루냐에서 벌어진 전투로, 동맹군이 스페인군을 격파하여 아라곤으로 퇴각하게 한 전투이다.
컬로든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정보 | |
전투명 | 컬로든 전투 |
다른 이름 | 블라르 휠 로다르 (Blàr Chùil Lodair, 게일어) |
일부 | 자코바이트 반란 (1745년) |
![]() | |
날짜 | 1746년 4월 16일 |
장소 | 인버네스 동쪽, 컬로든, 스코틀랜드 |
결과 | 영국 정부군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 |
교전국 2 | 자코바이트 |
지휘관 | |
지휘관 1 | 컴벌랜드 공작 |
지휘관 1 (추가) | 판 케펠 |
지휘관 1 (추가) | 존 허스크 |
지휘관 1 (추가) | 존 모르다운트 |
지휘관 1 (추가) | 헨리 호울리 |
지휘관 2 |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
지휘관 2 (추가) | 조지 머레이 |
지휘관 2 (추가) | 도널드 캐머런 |
지휘관 2 (추가) | 존 오설리번 |
지휘관 2 (추가) | 존 드러먼드 |
지휘관 2 (추가) | 제임스 드러먼드 |
병력 규모 | |
병력 1 | 6,900–7,200명 |
병력 2 | 5,000–6,000명 |
사상자 | |
사상자 1 | 약 50명 사망, 259명 부상 |
사상자 2 | 1,500–2,000명 사망 및 부상, 376명 포로 |
문화재 지정 | |
지정 종류 | 영국 등록 전장 |
지정 번호 | Historic Environment Scotland BTL6 |
2. 배경
1745년,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스코틀랜드에 상륙하여 자코바이트 봉기를 일으켰다.[1] 자코바이트 군은 에든버러를 점령하고 잉글랜드로 진격했으나, 잉글랜드 내 자코바이트 지지 부족과 프랑스 지원의 미비로 인해 북쪽으로 후퇴했다.[1] 1746년 1월, 컴벌랜드가 이끄는 정부군은 에든버러를 탈환하고 자코바이트 군을 추격했다.[1]
자코바이트 군은 프레스턴팬스 전투에서 승리하고 스코틀랜드 대부분을 장악한 뒤, 잉글랜드를 침공하여 더비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잉글랜드 민중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프랑스 지원군도 800명에 불과했다.[1] 결국 자코바이트 군은 고지대에서 재정비하기 위해 북쪽으로 물러났다. 한편, 정부군은 1746년 1월 30일에 에든버러를 탈환하고, 애버딘까지 북상하여 진군을 일시 중지했다.[1]
2. 1. 자코바이트 군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가 이끄는 자코바이트 군은 대부분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클랜 출신이었다. 자코바이트 군의 75%는 하이랜드 사람이었다.[1] 이들은 전통적인 무기와 전투 방식에 의존했으며, 장비와 훈련이 부족했다. 총과 대포는커녕 칼이나 창, 노획한 무기를 소지한 병력은 전체의 20% 정도였고, 나머지는 농기구나 곤봉 등을 지니고 있었다.[1] 프랑스에서 파견된 소수의 지원군이 있었으나, 전력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다.[1]2. 2. 정부군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 오거스터스가 이끄는 정부군은 애버딘에서 재편 및 훈련을 거쳐 질과 양 모두에서 자코바이트 군을 능가했다. 독일인 용병과 잉글랜드인으로 구성된 정규군에 더하여, 하이랜드의 캠벨 씨족과 문로 씨족으로부터도 원군을 얻을 수 있었다.[1] 정부군은 보병 12개 대대, 기병 3개 연대를 갖추었으며, 보급 물자와 화기도 충분했다.[1]3. 전투
1746년 4월 14일, 컴벌랜드 공작이 이끄는 정부군 주력 8,000명은 애버딘을 출발하여 네언에 도착했다. 자코바이트 군은 인버네스 동쪽의 컬로든 무어에 진을 쳤다.[58] 이곳은 평탄하고 단단한 지반으로 기병과 포병 운용에 유리하여 정부군에게 유리한 지형이었다. 조지 머레이 등은 정면 대결의 불리함을 역설하고 게릴라전으로 전환할 것을 건의했지만 찰스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4월 15일, 자코바이트 군은 야습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자코바이트 군은 물자를 모두 두고 출격하여 이미 굶주림에 처해 있었고, 각 부대는 아무런 행동도 하지 못한 채 시간만 지체했다.[58]
4월 16일, 날이 밝자 정부군이 진군을 시작했다. 폭우가 쏟아지는 가운데 자코바이트 군은 전열을 갖추는 것조차 힘들었다. 정부군의 포격과 총공격이 시작되자 자코바이트 군은 순식간에 무너졌다. 찰스는 전열을 재정비하려 했지만, 찰스의 독단적인 지휘에 불만을 품은 씨족장들은 일찌감치 그를 단념했다. 여러 씨족 부대가 용감하게 싸웠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정부군이 일방적인 승리를 거두었다.[58]
3. 1. 전투 진행
1746년 4월 16일, 폭우가 쏟아지는 가운데 자코바이트 군은 제대로 전열을 갖추기도 힘든 상황이었다. 결국 정부군의 포격이 시작되면서 총공격이 시작되자, 자코바이트 군은 순식간에 무너졌다.[58]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전열을 재정비하려 했으나, 그의 독단적인 지휘에 불만을 품은 씨족장들은 이미 그를 포기한 상태였다.오후 1시경, 컬로든 전투에서 자코바이트 포대가 포격을 시작했다. 이는 정부군 포병대가 자코바이트 전열 100m 이내로 접근하라는 컴벌랜드 공작의 명령에 대한 대응이었을 수 있다. 정부군 포병대도 곧 응사했다. 자코바이트 군이 30분 이상 포격을 받았다는 주장이 있지만, 정부군 기록에는 그보다 훨씬 짧은 시간 동안 교전이 벌어졌다고 한다. 정부군 후방의 기록에는 9분, 컴벌랜드 공작의 부관 요크는 2~3분이라고 언급했다.[6]
정부군 포병대는 30발 이상을 발사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며, 통계 분석 결과 실제 자코바이트 사상자는 20~30명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6]
오후 1시 직후, 찰스는 진격 명령을 내렸고, 자코바이트 군이 전선을 떠나자 정부 포병들은 캐니스터탄으로 전환하여 사격했다. 캐니스터탄은 정확한 조준이 필요 없어 발사 속도가 빨랐고, 자코바이트 군은 격렬한 포화 속으로 진격했다.
자코바이트 우익의 애솔 여단, 로킬 연대, 애핀 연대는 바렐과 먼로의 연대를 향해 돌격했다. 그러나 레이디 매킨토시 연대와 로바트 연대는 캐니스터탄 사격을 피하거나 더 단단한 땅을 따라가기 위해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다섯 개의 연대가 얽히면서 혼란은 더욱 심화되었고, 세 개의 가장 큰 연대는 지휘관들을 모두 잃었다.
반면, 자코바이트 좌익은 질퍽한 땅 때문에 훨씬 느리게 진격했다. 앤드루 헨더슨의 설명에 따르면, 존 드루먼드 경은 정부 보병을 유인해 일찍 사격하도록 하려 했지만, 정부군은 규율을 유지했다. 세 개의 맥도날드 연대는 비효율적인 장거리 소총 사격을 가하기 전에 멈췄고, 고위 장교들을 잃었다. 그들의 우익에 있는 더 작은 부대들은 포격이 쏟아지는 지역으로 진격하여 많은 사상자를 낸 후 후퇴했다.
몇몇 씨족 부대가 용감하게 싸웠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정부군이 일방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4. 전투 이후
찰스는 전사하지는 않았지만, 프랑스로 도피하기 위해 여장까지 해야 했다. 이 사건은 선전을 통해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각지에 알려졌고, 한때 '보니 프린스 찰리(사랑스러운 찰스 왕자)'라 불리며 존경받던 그의 인기는 크게 떨어졌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컴벌랜드 공작의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오라토리오 유다스 마카베우스를 작곡했다.[57]
전투가 끝난 후, 컴벌랜드 공작은 부상당해 움직일 수 없는 자코바이트 군 부상병과 포로들을 참수하라고 명령했다. 또한, 자코바이트 지지자들에 대한 수색과 처벌도 가혹하게 진행되었다.
4. 1. 스코틀랜드 하이랜드에 대한 탄압
영국 정부는 자코바이트 세력의 재기를 막기 위해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지역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을 시행했다. 우선, 전투 후 컴벌랜드 공작은 부상당한 자코바이트군 부상병이나 포로들을 참수하라고 지시했다. 붙잡힌 3,470명의 자코바이트 중 120명이 처형되었고, 88명은 옥사했으며, 936명은 식민지로 유배, 22명은 추방되었다. 700여 명은 제비뽑기로 사형수가 정해지는 등 섬뜩한 풍문이 돌았다고 한다.[57] 이러한 잔혹한 처사로 컴벌랜드 공작은 '도살자'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또한, 영국 정부는 반란의 재발을 막기 위해 하이랜드의 클랜 체제를 해체하고, 킬트와 타탄 착용을 금지하는 등 하이랜드 문화를 억압했다. 강력한 정부군을 하이랜드에 상주시켜 감시를 강화했다. 이러한 조치는 스코틀랜드인들에게 굴욕적인 처사로 비춰졌다.
4. 2. 헨델의 승전 축하곡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컬로든 전투에서의 승전을 기념하여 오라토리오 유다스 마카베우스를 작곡했다.[57]5. 역사적 의의 및 평가
6. 컬로든 전투 관련 작품
- 데이비드 모리에의 ''1745년 반란의 한 사건(An Incident in the Rebellion of 1745)''(이 페이지 상단의 정보 상자에 표시됨)는 종종 "컬로든 전투"로 알려져 있으며, 전투에 대한 가장 잘 알려진 묘사이자 모리에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이다. 이 그림은 배럴 연대에 대한 고지대인들의 공격을 묘사하며, 전투 직후 모리에가 만든 스케치를 기반으로 한다.
- 데이비드 모리에는 전투를 묘사한 두 점의 그림을 그렸다. 두 번째 그림(오른쪽 그림)은 전장의 지도를 보여주는 채색 목판화이다.[42]
- 오귀스탱 헤켈의 ''컬로든 전투''(1746년, 1797년 재판)는 스코틀랜드 국립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43]
- 프랭크 W. 우드(Frank W. Wood, 1862–1953)는 주로 수채화로 그림을 그리는 해군 예술가로 더 잘 알려져 있지만, 유화로 ''컬로든 전투의 고지대 돌격''을 그렸다. 그는 왕립 스코틀랜드 아카데미, 왕립 수채화가 협회, 왕립 아카데미에서 전시했다.
- 헨델의 오라토리오 ''유다 마카베우스(Judas Maccabaeus)''는 컬로든 전투 이후 컴벌랜드 공작에게 헌정하는 곡으로 쓰였다.[44]
- 컬로든 전투와 그 결과로 일어난 자코바이트 전쟁 포로들의 투옥과 처형은 체코 켈트 록 밴드 Hakka Muggies의 "Tam kde teče řeka Fleet" ("플리트 강이 흐르는 곳")이라는 노래에 묘사되어 있다.[45]
- 아르헨티나 밴드 수모(Sumo)는 전투의 전개를 연대기적으로 기록한 "Crua Chan"이라는 노래를 만들었다. 이 곡은 이탈리아-스코틀랜드 출신 밴드 리더 루카 프로단이 작곡했다. 그는 스코틀랜드 고든스토운에서 학생으로 있을 때 전투에 대해 알게 되었다.
- 알렉산더 맥퀸 패션 컬렉션 ''컬로든의 과부들(The Widows of Culloden)''(2006년 가을/겨울)은 전투 후 남겨진 과부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46]
6. 1. 소설

- 스카이 보트 송은 19세기 말에 작곡되었으며 보니 프린스 찰리의 벤베큘라에서 스카이 섬으로의 여정을 회상한다.[47]
- D. K. 브로스터의 소설 《헤론의 비행》(1925)은 컬로든 전투를 중요한 에피소드로 다루며, 그녀의 《자코바이트 3부작》의 첫 번째 권이다. 이 소설은 스코틀랜드 텔레비전에서 1968년에 8개의 에피소드로, BBC에서 1976년에 두 번 TV 드라마로 제작되었다.
- 나오미 미치슨의 소설 《황소 송아지》(1947)는 컬로든 전투와 그 여파를 다룬다.[48]
- 컬로든 (1964)은 BBC TV의 다큐드라마로, 피터 왓킨스가 쓰고 연출했으며, 20세기 텔레비전 보도 형식으로 전투를 묘사한다.[49]
- 다이애나 개벌던의 소설 《호박 속의 잠자리》(1992, 런던)는 역사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상세한 픽션으로, 스코틀랜드인, 하이랜더, 로우랜더, 특히 프레이저 씨족 내의 하이랜더들을 다룬다. 여기에는 시간 여행 요소가 있으며, 20세기의 주인공은 전투가 어떻게 끝날지 알고 있지만, 18세기로 옮겨진 후에도 미리 정해진 운명의 투쟁에 휘말린다. 이 전투는 개벌던의 소설 시리즈를 바탕으로 한 STARZ 시리즈 아웃랜더의 29번째 에피소드(시즌 2, 에피소드 13)에 등장한다. 전투와 스코틀랜드 역사에 대한 중요성은 책과 TV 시리즈 전체에서 여러 번 언급된다.
- 더 하이랜더스 (1966–1967)는 BBC SF 텔레비전 시리즈 《닥터 후》의 시리얼이다. 닥터와 그의 동행인 폴리와 벤은 TARDIS를 타고 1746년 컬로든 전투가 벌어진 지 몇 시간 후에 도착한다. 이 이야기는 제이미 맥크리먼이라는 인물을 소개한다.[50]
- 체이싱 더 디어 (1994)는 전투 직전의 사건들을 영화적으로 각색한 작품으로, 브라이언 블래시드와 피쉬가 출연했다.[51]
- 《드럼모시 무어 – 잭 캐머런, 아일랜드 여단과 컬로든 전투》는 이언 콜퀀의 역사 소설(아리마/스월 2008)로, 자코바이트의 후퇴를 돕던 프랑스-아일랜드 정규군 또는 '피케'의 관점에서 전투와 그 전날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52]
- 해롤드 코일의 소설 《야생의 황무지》의 첫 번째 장은 주인공의 컬로든 전투에서의 활약을 다룬다.
- 스타 트렉 소설 《고향은 사냥꾼》에서 몽고메리 스콧은 아이의 죽음에 분노한 외계인에 의해 18세기 스코틀랜드로 시간 여행을 떠나 컬로든 전투에 참여한 후 23세기로 돌아온다.
- 포르투갈 작가 헬리아 코레이아는 소설 《릴리아스 프레이저》(2001)를 컬로든 전투 이후의 상황으로 시작한다. 이 작품은 출간 당시 국내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고 결국 펜클럽 소설상을 수상했다.
- 캐나다 소설 《노 그레이트 미스치프》는 앨리스터 맥레오드가 쓴 소설로, 컬로든 전투 이후 캐나다로 이민 온 스코틀랜드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며 그들의 과거가 현재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며, 이 전투에 대한 수많은 언급이 포함되어 있다.
- 『아웃랜더』(1999년-, 다이애나 개벌던)
6. 2. 드라마
1964년 BBC에서 피터 왓킨스 감독의 영화 <컬로든>이 제작되었다.[1] 2004년에는 BBC 다큐멘터리 시리즈 Battlefield Britain에서 <컬로든: 자코바이트의 최후의 저항> 편이 방영되었다.[2] 2014년부터는 스타즈에서 드라마 <아웃랜더>가 방영되고 있다.[3]참조
[1]
웹사이트
Collins Dictionary
https://www.collinsd[...]
[2]
웹사이트
Map of Drummossie
http://www.multimap.[...]
MultiMap
[3]
웹사이트
Map of Drummossie Moor
http://www.multimap.[...]
MultiMap
[4]
웹사이트
Map of Culloden
http://www.multimap.[...]
MultiMap
[5]
간행물
Get map
http://getamap.ordna[...]
Ordnance Survey
2008-07-03
[6]
서적
Culloden
Pen and Sword (Kindle ed)
2009
[7]
웹사이트
David Morier (1705?–70) – An Incident in the Rebellion of 1745
https://www.rct.uk/c[...]
2021-11-11
[8]
문서
Pittock (2016) p. 95
[9]
문서
Reid (2006), p. 16.
[10]
문서
Reid (2002), p. 93.
[11]
문서
Pittock (2016) p. 134
[12]
문서
Reid (2002), pp. 80–85.
[13]
문서
Pittock (2016).
[14]
문서
Harrington (1991), p. 83.
[15]
문서
Reid (2002), pp. 88–90.
[16]
문서
The Jacobite Movement in Scotland and in Exile, 1746–1759
2003
[17]
문서
Roberts (2002), pp. 182–183.
[18]
문서
Prebble (1973), p. 301.
[19]
문서
Harrington (1991), pp. 85–86.
[20]
문서
Roberts (2002), p. 178.
[21]
문서
Magnusson (2003), p. 623.
[22]
문서
Monod (1993), p. 340.
[23]
웹사이트
An act to prevent the return of such rebels and traitors concerned in the late rebellion, as have been, or shall be pardoned on condition of transportation; and also to hinder their going into the enemies country.
https://archive.org/[...]
[24]
문서
Roberts (2002), pp. 196–197.
[25]
문서
Harrington (1996), p. 88.
[26]
문서
Brown (1997), p. 133.
[27]
백과사전
Britain from 1742 to 1754
https://www.britanni[...]
2009-03-04
[28]
문서
Gibson (2002), pp. 27–28.
[29]
간행물
Culloden: A Pre-emptive Strike
1994
[30]
뉴스
What was the last battle fought on British soil?
https://pressreader.[...]
2023-12-08
[31]
웹사이트
New Visitor Centre
http://www.nts.org.u[...]
2008-11-09
[32]
웹사이트
What's New?
http://www.nts.org.u[...]
2008-11-09
[33]
웹사이트
The Memorial Cairn
http://www.nts.org.u[...]
2008-11-09
[34]
웹사이트
Graves of the clans
http://www.nts.org.u[...]
2008-11-09
[35]
문서
Reid (2002), pp. 91–92.
[36]
웹사이트
Field of the English
http://www.nts.org.u[...]
2008-11-09
[37]
웹사이트
Well of the dead
http://www.nts.org.u[...]
2008-11-09
[38]
웹사이트
'The Well of the Dead', Culloden Battlefield
http://www.ambaile.o[...]
2008-11-09
[39]
웹사이트
Cumberland stone
http://www.nts.org.u[...]
2008-11-09
[40]
웹사이트
Inventory battlefields
https://web.archive.[...]
Historic Scotland
2012-04-12
[41]
웹사이트
Point of Contact: Archaeology at Culloden
http://www.gla.ac.uk[...]
2009-03-06
[42]
웹사이트
Culloden
http://www.nms.ac.uk[...]
2017-08-13
[43]
웹사이트
Augustin Heckel: The Battle of Culloden
http://www.nationalg[...]
National Galleries of Scotland
2013-04-03
[44]
웹사이트
Handel – Judas Maccabaeus – Programme Notes
http://www.choirs.or[...]
[45]
Discogs
Hakka Muggies – Feed The Fairies
https://www.discogs.[...]
[46]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Collections: The Widows of Culloden
http://www.vam.ac.uk[...]
Victoria and Albert Museum
2015
[47]
간행물
The skye boat song
2012-12
[4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odern Scottish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49]
웹사이트
10 great films set in the 18th century
https://www.bfi.org.[...]
2022-03-16
[50]
웹사이트
The Highlanders
https://www.bbc.co.u[...]
2022-03-16
[51]
웹사이트
Chasing the Deer (1994)
https://www.allmovie[...]
2022-03-16
[52]
서적
Drumossie Moor – Jack Cameron, The Irish Brigade and the Battle of Culloden
Swirl
[53]
Kotobank
2024-11-17
[54]
Kotobank
小学館
2024-11-17
[55]
Kotobank
講談社
2024-11-17
[56]
서적
地球の歩き方 2016〜17 湖水地方&スコットランド
ダイヤモンド・ビッグ社
[57]
서적
Judas Maccabæus
https://books.google[...]
Crystal Palace Press
1892
[58]
웹인용
Map of Drummossie Moor
http://www.multimap.[...]
MultiMa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